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아는기자, 이번에는 정치부 이현재 기자와 나와 있습니다. 이 기자,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사퇴하면서 일단 당 대표 자리가 비었는데,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겁니까? <br><br>한동훈 위원장을 비롯한 비상대책위원들이 모두 사퇴하면서 지도부가 텅 빈 상황입니다. <br> <br>일단 당내 서열 2위 윤재옥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 <br>새 비대위원장을 선임할 수도 있겠지만, 현재로서는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새 당 대표를 뽑을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Q2. 우선 당을 수습할 당 대표가 필요할 텐데, 누가 뛰어들까요? <br><br>크게 세 개 세력이 각축전을 벌일 전망입니다.<br> <br>먼저 한동훈 비대위원장입니다. <br> <br>이번 선거를 치르면서 전국적 인지도를 확보한 한 위원장은 단숨에 여권의 가장 유력한 대권 후보 자리에 올랐다는 강점이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총선 패배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고, 총선에 도전한 이른바 '한동훈의 사람들'이 줄줄이 낙선하면서 당내 세력을 구축하지 못한 점이 한계로 지적됩니다.<br> <br>한 위원장이 총선 이후에도 정치 활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힌 만큼 재등장 가능성은 높습니다. <br>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8일, 채널A 인터뷰)] <br>"저는 공공선을 위해서 이 정치라는 무대에서 나라와 시민을 위해 살기로 결심했습니다. 어차피 제 마음은 정해져 있습니다." <br><br>Q3. 사실 총선 기간에도 친윤계가 한 위원장에 대한 불만 컸잖아요. 이번에 친윤계 생존자는 꽤 많은데, 가만히 있지 않을 거 같은데요? <br><br>물론입니다. <br> <br>선거 끝나기를 벼르고 있었던 친윤계가 두 번째 세력입니다. <br> <br>윤재옥 권성동 이철규 의원 등 친윤 의원들 대부분은 22대 국회에 재입성한 당내 주류 세력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번 총선, 정권심판 여론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친윤 세력이 다시 당권을 잡게 되면 '민의를 무시한다'는 역풍을 맞을 수 있겠죠.<br> <br>지난해 초 당 대표 선출을 할 때 나경원 전 의원을 향해 초선 의원 50명이 연판장을 돌려 불출마를 압박했는데, 이제는 이런 조직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Q4. 한 위원장과 친윤계의 싸움이 되는 걸까요? <br><br>여기에 여당의 참패에도 살아돌아온 비윤 중진 세력이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각각 5선과 4선 고지에 오르며 중량감이 더 높아진 나경원 당선인과 안철수 의원, 지난 전당대회 당시 윤 대통령과 각을 세웠던 전력이 있죠. <br> <br>정권심판론 바람에 맞서 당을 쇄신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 나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들도 당내 세력이 없을뿐 아니라, 참신함이 떨어진다는 점도 약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Q5. 모두 약점을 가지고 있다는 건데, 이번에 보수 정당을 재건해야 한다는 점에서 역할이 아주 중요해 보여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이번 총선에서 정권심판론 속에 대패를 했는데, 이대로 가만히 있는다면 다음 대선 결과도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차기 당 대표에게 가장 중요한 게 대통령과 어떤 관계를 유지해갈 것인가죠. <br> <br>임기 3년 남은 대통령과 완전히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야 할지, 아니면 안정적 관계를 유지할지 당원들의 판단에 따라 새 대표가 결정될 것입니다.<br> <br>또 당 대표가 대선에 나가려면 당헌에 따라 임기 종료 전인 내년 9월에 사퇴를 해야 하는데, 그때까지 차기 대권 레이스를 자기 페이스로 이끌 수 있는 위치에도 서게 됩니다.<br> <br>Q6. 친윤이든 비윤이든, 이번에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으니 공개적으로 활동을 할 텐데. 불출마한 한 위원장은 그렇지 않잖아요? 한 위원장은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할까요? <br><br>한 위원장은 오늘 쉽지 않은 길이겠지만 국민만 바라보면 그 길이 보일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죠. <br> <br>일단 휴식을 취하면서, '길'이 무엇인지 향후 정치행보에 대해 고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총선 후 유학설에 대해서는 이미 선을 그었고요. <br> <br>총선 기간에는 한 위원장이 윤 대통령과 명확하게 각을 세우지도 않고 그렇다고 일체감을 보이지도 않았는데요. <br> <br>지지층과 중도층을 모두 잡으려는 행보였겠지만, 성과를 내지 못했죠. <br> <br>차기 당권을 노리고, 여기에 대권까지 노린다면 아무래도 차별화 노선을 걸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입니다.<br> <br>그리고 윤 대통령과 겹치는 '검사 출신'이라는 배경도 어떻게 희석할지도 한 위원장에게는 숙제일 겁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